카테고리 없음

[미국 주식 뉴스]3/14미 증시 특징/주요 ETF/한증시 전망 : 금리 급등 불구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혼조

jorsung 2021. 3. 15. 08:34

- 미 10년물 국채금리 1.625%로 연중 최고치 경신

- 1인당 1,400달러 지급 시작에 따른 신규 자금 유입 기대

- TSA, 미 공항 이용객수 2020년 3월 15일 이후 최고

- 국제유가, 금, 비철금속, 곡물 관망 속 혼조 양상

- 3월 소비심리지수 전월(76.8), 예상(78.5) 보다 개선된 83.0 발표

- 미 정부, 화웨이 거래 기업 5G 제품 판매 중단 지시

장중 변화

미 증시는 국채금리 상승으로 인한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은 한 때 1.8% 하락. 그러나 경제 정상화 기대가 높아지며 금융, 산업재, 소매 유통 업종 등이 강세를 이어가자 낙폭이 축소되었으며 다우와 S&P500은 상승 전환에 성공. 특히 국민 1인당 1,400달러 지급에 따라 주식시장으로 신규 자금 유입 기대가 높아진 점도 투자심리 개선 효과. 다만 미-중 마찰 지속과 국채금리 영향으로 제한된 움직임(다우 +0.90%, 나스닥 -0.59%, S&P500 +0.10%, 러셀2000 +0.61%)

장중 변화 요인: 국채금리, 경제 정상화, 미-중 갈등

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.6%를 훌쩍 넘어서며 장 초반 시장에 부담. 국채금리 상승은 1.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이 향후 국채 공급 증가와 인플레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, 여기에 미 정부가 5월 1일부터 모든 성인에 대해 백신을 접종 한다고 발표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 된다는 점, 소비 심리지수 개선(76.8→83.0)에 따른 경제정상화 기대 확산 등이 금리 급등을 야기. 더불어 여타 백신 업체들보다 생산 능력이 뛰어나 노바벡스(+8.07%)가 3상 임상 결과 기존의 코로나에 96.4%, 변종 바이러스에도 86.3%나 효과적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영향. 이러한 요인으로 국채 금리가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자 애플(-0.79%), 알파벳(-2.41%), MS(-0.58%), 테슬라(-0.84%) 등 대형 기술주들이 2~5% 하락하고 서비스나우(-2.71%), 세일즈포스(-1.73%) 등 소프트웨어 업종, 마이크론(-1.72%), AMAT(-2.48%) 등 반도체 업종 등 성장주 중심으로 급락하며 지수 하락을 부추김

그렇지만 시장은 장 초반 하락을 뒤로하고 대부분 낙폭을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 성공. 이는 1,400달러 지급이 이번 주부터 집행 되며, 주식시장으로 최대 1,2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 유입 기대가 확산 된 점, 경제 정상화에 따른 낙관적인 주식시장 기대 심리가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추정. 이 영향으로 장 초반 급락하던 기술주가 낙폭을 축소했으며, 경제 정상화와 금리 상승으로 JP모건(+1.19%), BOA(+1.88%) 등 금융주, 캐터필라(+4.21%), 허니웰(+0.89%) 등 산업재, 월마트(+1.51%), 코스트코(+0.76%) 등 소매 유통업종의 강세를 이끔.

한편, TSA가 미국 공항 이용객수가 코로나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소식(11일 128만명, 12일 136만명)이 전해지자 보잉(+6.82%), 사우스웨스트항공(+4.38%), 델타항공(+3.13%) 등 항공주는 물론 부킹닷컴(+1.65%) 등 여행, 카니발(+3.60%) 등 크루즈 업종 등도 강세. GM(+5.20%), 포트(+4.37%) 등 자동차 업종도 급등. 특히 GM의 경우 배터리 회사인 SolidEnergy와 협력관계를 체결한 점도 영향.

알리바바(-3.71%), 진둥닷컴(-6.65%) 등 중국 기업들은 미 정부의 화웨이 거래 기업들에 대해 5G 관련 제품 판매 금지 지시 소식으로 인한 미-중 마찰 확대 우려로 약세를 보였으며, 18일 알라스카에서 있을 미-중 고위급 회담을 지켜 보는 관망세 또한 확산. 결국 미 증시는 금리 급등으로 장 초반 기술주 중심으로 혼란을 겪었지만, 신규 자금 유입 기대 및 경제 정상화에 따른 매수세가 유입되며 혼조 마감

주요 ETF

*미 주요 업종 ETF

원유시추업체 ETF(XOP) -0.74%

에너지섹터 ETF(OIH) -0.98%

소매업체 ETF(XRT) +1.70%

금융섹터 ETF(XLF) +1.02%

기술섹터 ETF(XLK) -0.72%

소셜 미디어업체 ETF(SOCL) -1.37%

인터넷업체 ETF(FDN) -1.19%

리츠업체 ETF(XLRE) +1.72%

주택건설업체 ETF(XHB) -0.09%

바이오섹터 ETF(IBB) -0.72%

헬스케어 ETF(XLV) +0.22%

곡물 ETF(DBA) -0.06%

반도체 ETF(SMH) -1.25%

*미 주요 스타일별 ETF

대형 가치주 ETF(IVE) +0.92%

중형 가치주 ETF(IWS) +0.94%

소형 가치주 ETF(IWN) +1.40%

대형 성장주 ETF(VUG) -0.62%

중형 성장주 ETF(IWP) -0.43%

소형 성장주 ETF(IWO) -0.06%

배당주 ETF(DVY) +1.59%

신흥국 고배당 ETF(DEM) -0.34%

신흥국 저변동성 ETF(EEMV) -0.88%

미국 국채 ETF(IEF) -0.72%

하이일드 ETF(JNK) -0.23%

물가연동채 ETF(TIP) -0.79%

Long/short ETF(BTAL) -1.01%

FICC

국제유가는 달러 강세 및 그동안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소폭 하락. 금은 달러 강세 및 국채금리 상승 영향으로 약보합.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와 경제 정상화 이슈가 충돌하며 혼조세를 보였으며, 곡물 가격 또한 미 농무부 공급 및 수요 보고서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점에 혼조세로 마감

달러화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며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를 보임. 특히 경제 정상화 기대가 확산된 점도 영향. 역외 위안화 환율은 미-중 갈등 우려 속 달러 대비 0.3% 약세. 멕시코 페소 등 여타 신흥국 환율 또한 달러 대비 약세를 보임

국채금리는 경제지표 호전 및 미국의 경제 정상화 기대 속 상승. 특히 미국의 추가 부양책에 의한 국채 공급 부담과 5월 1일부터 모든 성인에 코로나 백신을 접종을 시작하는 등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진 점, FOMC를 앞두고 경계감이 높아진 점도 영향.

한국 관련

- MSCI 한국 지수 ETF -0.81% 하락

- MSCI 신흥국 지수 ETF -1.78% 하락

-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-1.07% 하락

- 러셀2000지수 +0.61% 상승

- 다우 운송지수 +0.96% 상승

- NDF 달러/원 환율 1개월물 1,136.35원(2원 상승 예상)

- KOSPI 0.5~1.0% 하락 출발 예상

- 미-중 갈등 지속, 외국인 수급 부정적

https://blog.naver.com/jorsungeun/222272943662

[미국 주식 뉴스]3/12 AMC, 임대료 지출로 추가적 증자 단행 가능성 있어 -CS

Credit Suisse는 AMC Entertainment(AMC)에 대한 투자의견 Underperform, 목표주가 1.55달러를 ...

blog.naver.com

https://blog.naver.com/jorsungeun/222272875467

[미국 주식 뉴스체크]3/12 Coupang, 상장개시일에 40% 급등 … 연내 IPO 중 최대

CNBC는 “11일(목)에 Coupang(CPNG)이 기업공개(IPO)를 단행한 가운데, 이날 동사 주가는 40% ...

blog.naver.com

https://url.kr/s9gj23

 

미트포유 옛날 삼겹살 구이용 (냉동)

COUPANG

url.kr

https://dokdo.in/VT0

 

생활공작소 뽑아쓰는 키친타올 3겹

COUPANG

dokdo.in

https://c11.kr/n9ni

 

디즈니 이수샵 데이지 오버핏 기모 맨투맨 ESS20-003

COUPANG

c11.kr